728x90
반응형
🗓️ 사고 일시
- 2024년 7월 4일 오전
- 전국 SKT 사용자 대상 통신망 마비 발생
1. 🧩 사건 개요
- SK텔레콤의 주요 서버가 외부 공격에 의해 연속적으로 침탈됨
- 핵심 가입자 인증 서버(HSS)까지 손상 → 전국 통신망 장애 유발
2. 🔍 공격 경로 및 방식
단계상세 내용

과학기술정보 통신부 보도 자료 - SK텔레콤 침해사고 최종 조사결과 발표 - 부처 브리핑 ❘ 브리핑룸 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
✅ ① A서버 침입 | 외부 해커가 관리자 계정으로 A서버에 접근 |
🔁 ② B서버 이동 | 동일한 ID/PW를 활용해 B서버에도 로그인 |
💥 ③ HSS 서버 침입 | 가입자 인증 핵심 서버(HSS)까지 접속 및 시스템 영향 |

HSS 서버란?
휴대폰 인증·접속·통신처리에 핵심적인 가입자 정보 서버 (Home Subscriber Server)
3. ⚠️ 보안 취약점
- 모든 서버의 관리자 계정(ID/PW) 정보가 동일하게 재사용
- 해당 계정들이 메모장 형태로 저장되어 있었음
- 결과적으로, 하나의 계정만 탈취돼도 전체 시스템에 연쇄 침입 가능
4. ❓ 미확인 요소
- 과기부 보고서에도 “최초 A서버 침입 경로”는 불명확
- 어떻게 침입했는지에 대한 접속기록 부재
- 방화벽·로그·탐지체계 미비 가능성 존재
5. 📌 핵심 요약
항목내용
침입자 수 | 최소 1명 이상, 외부 해커 추정 |
침입 방식 | 관리자 계정 재사용 + 메모장 유출 |
피해 규모 | 전국망 마비 (모바일 데이터·통화 모두 장애) |
책임 주체 | SKT 내부 보안 관리 허점으로 드러남 |
정책 개선 필요 | 계정 분산, 2FA, 내부 접근통제 강화 필수 |
6. 🧠 결론
국내 1위 통신사에서 단 하나의 계정 유출로
전국 통신망이 무너졌다는 사실은
**“보안 기강 해이”와 “기본관리 미비”**의 명백한 사례이다.
군대식 메모장 계정 저장,
서버 간 계정 재사용,
최초 침입 경로 미파악이라는 삼중 취약점은
향후 다른 기간망 기업에도 중요한 교훈이 된다.
728x90